2022. 12. 11. 09:46ㆍ증권 재테크/해외주식
금리가 한창 올라있는 지금이 사실은 채권에 투자하기에 좋은 시기가 되었다. 물론 22년 12월을 기점으로 볼 때 기준 금리가 조금 더 오를거란 전망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조금 더 오르는 금리는 장기채권 가격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지금이 딱 좋은 시기라고 봐도 큰 무리는 없다. 나는 이러한 원리를 알고 미국 장기채권 ETF인 TLT에 소액을 투자한 것이 아니고 그냥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도중에 어쩌다 보니 몇 주 사모으게 되었다. 그런데 역시나, 내가 채권ETF를 보유하고 있다보니 공부를 계속 하게 되더라는~!

우선 소액이나마 TLT ETF에 투자한 거에 대한 분배금을 총 정리해보자! 당시 3주를 매수할 때까지 투입된 한화는 약 45만원 정도이다. 12월 분배금까지 계산해서 2022년 내가 수령한 이자의 총액은 4.13달러!
22년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주 보유 | 2주 | 2주 | 3주 | 3주 | 3주 | 3주 |
배당 0.35USD | 0.45USD | 0.45USD | 0.71USD | 0.73USD | 0.71USD | 0.73USD |
누적 0.35USD | 0.80USD | 1.25USD | 1.96USD | 2.69USD | 3.40USD | 4.13USD |
환율문제 때문에 정확한 계산은 어렸지만 약 반년동안 받은 이자가 원금대비 1% 정도는 되는거 같다. 물론 ETF에서 받은 돈이니까 정확한 명칭은 분배금이라고 해야 한다. 분배금만 놓고보면 별로 재미를 못 본 투자이다. 실제로 주가도 매수단가 대비 상당히 내려와 있는 상태라서 종합적으로는 많은 손실을 보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를 통해 많을 것을 배웠지 않은가? 경제위기나 침체가 도사릴 때 자산을 지키기 위한 투자뿐만 아니라, 금리가 높을때에도 채권투자로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만일 올해 12월에 연준에서 정책금리를 한 번 더 올린 이후 금리인상 기조가 멈춘다는 전망하에서는 채권투자가 상당히 매력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달러원 환율이 1300원을 넘기에 굳이 우리 돈을 달러로 환전해서 투자하기에는 어느정도 부담이 있다. 만일 내가 달러원 환율이 1,150원 정도 때 바꾸어 놓은 달러 현금이 한 10,000달러 정도(한화로는 약 1,300만원 되겠음) 가지고 있다면 그 자체로도 환차익을 볼 수 있는 거겠지만 여기에서 더 나아가 미 국채에 투자를 해봐도 되는 상황이라고 해석하면 좋을 듯하다. 그렇다면 나는 하나 더 배웠다. 달러가 쌀때 달러를 어느정도 확보 해놓고 이후 이를 무조건적으로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달러현금으로도 보유하고 있다면 지금처럼 좋은 기회가 올때 안정적이면서도 큰 수익률을 주는 채권투자를 도모해볼 수 있다는 점을 말이다. 결국 포트폴리오에서 현금을 일정비중 보유하라는 것은 원화 현금뿐만 아니라 달러 현금에도 적용된다는 것이 포인트가 되겠다.

참고로 현재의 달러원 환율때문에 더 이상 미국 장기국채 TLT ETF에는 추가적으로 투자를 하지 않고 있지만, 우리 증시에 상장된 우리나라 장기국채 ETF에는 소액씩 투자를 시작했다.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라는 종목에 선발대를 꾸려서 파견해놨다. 이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국내주식 카테고리에서 하기로 하고 TLT ETF에 관한 기록은 여기에서 마무리 한다.
'증권 재테크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2월 ACE 베트남VN30(합성) 12주 추가매수-총 보유수량 53주 (0) | 2022.12.21 |
---|---|
3M(MMM)12주! 22년 4분기 배당금 15.19USD 입금완료! (0) | 2022.12.14 |
3M 주식 수익률 -25.86%, 주가와 배당금에 대한 고민! (0) | 2022.12.10 |
22년 12월분 JEPI ETF 배당금 17.65달러! 원화로 환전! (0) | 2022.12.07 |
달러원 환율 1200원대, KODEX 미국FANG플러스(H) 우선 정리! (0) | 2022.12.05 |